본문 바로가기
틈새정보(건강정보,생활꿀팁 등)

여름휴가 어디로 가시나요? 2025 전국해수욕장 개장 알아봐요~

by 혜람의 틈새이야기 2025. 6. 30.
728x90
반응형

더운 여름입니다. 여름에는 역시 바다죠~~

전국 해수욕장 개장 알아봐요~~

 

2025년 전국 해수욕장 개장 일정

* 인천 지역

  • 을왕리, 왕산, 하나개 해수욕장: 6월 21일 개장, 9월 7일까지 운영
  • 서포리, 떼뿌루 해수욕장: 7월 21일 개장, 8월 17일까지 운영

* 부산 지역

  • 해운대, 송정 해수욕장: 6월 21일 개장, 해운대는 9월 14일까지, 송정은 8월 31일까지 운영
  • 광안리, 기장, 다대포 해수욕장: 7월 1일 개장

* 강원도 지역

  • 경포 해수욕장: 6월 28일 개장, 8월 중순까지 운영
  • 속초 해수욕장: 7월 4일 개장, 8월 중순까지 운영
  • 동해, 삼척 해수욕장: 7월 9일 개장, 8월 중순까지 운영
  • 양양, 고성 해수욕장: 7월 11일 개장, 8월 중순까지 운영
  • 야간 개장:
    • 속초: 7월 19일~8월 10일, 밤 9시까지 운영
    • 강릉 경포: 7월 26일~8월 9일, 밤 9시까지 운영 

* 충청도 지역

  • 대천, 만리포 해수욕장: 7월 5일 개장, 만리포는 8월 24일까지 운영
  • 무창포 해수욕장: 7월 12일 개장, 8월 24일까지 운영
  • 태안군 21개 해수욕장: 7월 5일 개장, 대부분 8월 17일까지 운영
  • 만리포 해수욕장 야간 개장: 8월 13일~8월 17일, 밤 9시까지 운영 

* 전라도 지역

  • 부안군 해수욕장: 7월 4일 개장, 8월 17일까지 운영
  • 고창 구시포, 동호 해수욕장: 7월 10일 개장, 8월 18일까지 운영
  • 완도 명사십리 해수욕장: 7월 12일 개장, 8월 17일까지 운영
  • 완도 내 10개 해수욕장: 7월 25일 개장, 8월 17일까지 운영

* 경상도 지역

  • 울산 진하 해수욕장: 6월 27일 개장
  • 울산 일산 해수욕장: 7월 1일 개장, 8월 31일까지 운영
  • 울산 강동 해수욕장: 7월 19일 개장, 8월 24일까지 운영
  • 거제 해수욕장: 7월 3일 개장, 8월 24일까지 운영
  • 남해 해수욕장: 7월 1일 개장, 8월 31일까지 운영
  • 사천 해수욕장: 7월 5일 개장, 8월 17일까지 운영
  • 광암 해수욕장: 7월 5일 개장, 8월 24일까지 운영
  • 경주 해수욕장: 7월 11일 개장, 8월 17일까지 운영

* 제주도 지역

  • 이호, 협재, 월정, 금능, 곽지, 함덕 해수욕장: 6월 24일 개장, 8월 31일까지 운영
    • 협재, 이호 해수욕장 야간 개장: 7월 15일~8월 15일, 밤 9시까지 운영
    • 월정리, 삼양 해수욕장 야간 개장: 7월 15일~8월 15일, 밤 8시까지 운영
  • 김녕, 화순, 중문, 표선, 신양, 삼양 해수욕장: 7월 1일 개장, 8월 31일까지 운영

https://korean.visitkorea.or.kr/detail/rem_detail.do?cotid=f525e31c-10eb-423a-ace7-9b78acd10ed3

"전국해수욕장예보"

 

[2024 해수욕장 개장 일정 총정리!] 전국 ‘해수욕장 예보’ 확인하고, 안전한 여름휴가 즐겨보세

2024 전국 해수욕장 개장일정 총정리! 바다로 떠나기 전! 전국 해수욕장의 개장일정과 함께, 해수욕장 별 날씨정보, 수온, 파고, 조석정보, 일출/일몰 정보, 주간예보 등 해수욕장 예보 확인하고,

korean.visitkorea.or.kr

 출발하시기 전에 체크해보시면 좋아요~~~

 

 

해수욕장을 이용할 때 준비물과 주의사항은 안전하고 즐거운 여름을 보내기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입니다.

다음은 필수 준비물과 주요 주의사항입니다. 안전한 물놀이를 위한 필독사항입니다. 

** 해수욕장 준비물

  1. 수영복 및 수영용품
    • 수영복, 수경, 물안경, 스노클링 장비(원하는 경우)
    • 수건 (여러 장 준비하는 것이 좋음)
    • 방수 가방 (소지품을 물에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)
  2. 자외선 차단 용품
    • 자외선 차단제 (SPF 30 이상 권장)
    • 선글라스 (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것)
    • 모자나 챙이 넓은 양산 (햇볕 차단용)
  3. 음료수 및 간식
    • 충분한 수분 섭취를 위해 물이나 음료수
    • 가벼운 간식 (과일, 에너지 바 등)
  4. 변변한 일회용품
    • 일회용 컵, 빨대, 수저 등
    • 샤워 후 사용할 여분의 옷
  5. 위생용품
    • 손 세정제, 물티슈
    • 휴대용 화장지나 티슈 (화장실에서 사용)
  6. 바람막이 및 우비
    • 비가 올 경우를 대비해 바람막이나 우비 준비
  7. 안전용품
    • 구명조끼 (아이들이나 수영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필수 안전 용품)
  8. 방수 장비
    • 스마트폰을 보호할 방수팩

⚠️ 해수욕장 이용 시 주의사항

  1. 해양 안전 규칙 준수
    • 안전한 수영 구역에서만 수영을 해야 합니다.
    • 위험 구역(조류 강한 곳, 바위가 많은 곳 등)에는 접근하지 않도록 합니다.
  2. 안전 수칙 따라가기
    • 해수욕장에서 구명조끼를 착용하여 안전하게 수영합니다.
    • 물에 들어가기 전 항상 날씨, 파도, 조류 등을 확인하세요.
    • 음주 후에는 절대 수영하지 않도록 합니다.
  3. 자외선 차단
    • 자외선 차단제를 꾸준히 덧발라 피부를 보호하고, 긴 시간 해변에서 보내기 전에 미리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.
    • 햇볕이 강한 시간대(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)에는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.
  4. 쓰레기 처리
    • 해변에서 먹거나 사용한 물건들은 반드시 개인적으로 수거하여 쓰레기통에 버려야 합니다.
    • 해양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바다에 쓰레기를 버리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  5. 수영 후에는 씻기
    • 해수욕 후 바닷물을 씻어내고, 개인 위생을 잘 챙기세요.
    • 바다에서 나오는 즉시, 미리 준비된 수건으로 몸을 닦고 탈의실에서 옷을 갈아입습니다.
  6. 보호구역 및 금지 구역 지키기
    • 일부 해수욕장에는 보호구역(산호초나 해양 생물이 많은 지역)이나 출입 금지 구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.
    • 이를 철저히 준수하여 생태계를 보호하세요.
  7. 아이들 안전
    • 어린이들은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보호자와 함께 수영해야 합니다.
    • 파도가 거세거나 날씨가 급변하는 경우, 빠르게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야 합니다.
  8. 야경 즐기기
    • 야경을 즐길 때는 해양 사고 예방을 위해 밤에는 지나치게 멀리 나가지 않도록 합니다.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