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를 보다가 "이게 무슨 말이지?" 하고 고개를 갸웃거린 적 있으신가요?
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세상 속에서 '밈(Meme)'과 '신조어'는 MZ세대의 소통 방식이자 문화를 반영하는 거울이 되었는데요.
오늘은 요즘 가장 핫한 밈과 신조어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릴게요!
여러분은 과연 몇 개나 알고 계실지, 함께 확인해 볼까요?
1. "레지고!"
의미: 'Let's Go'를 발음 그대로 표기한 것으로, '가자!', '시작하자!' 와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. 어떤 일을 시작하거나 무언가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현할 때 사용되죠.
활용 예시:
- "오늘 불금인데 치맥 레지고!"
- "새로운 프로젝트 시작! 다 같이 레지고!"
TMI: 틱톡 챌린지나 유튜브 영상에서 활기찬 시작을 알리는 용도로 자주 쓰이면서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. 특유의 발랄함이 매력 포인트!
2. "무해력"
의미: '무해하다' + '매력'의 합성어로, 보는 사람에게 전혀 해를 끼치지 않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는 매력을 뜻합니다. 순수하고 착한 느낌, 편안함을 주는 사람이나 콘텐츠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.
활용 예시:
- "저 배우는 정말 무해력 넘쳐서 볼 때마다 기분이 좋아져."
- "이 강아지 영상은 완전 무해력 끝판왕!"
TMI: 자극적인 콘텐츠가 넘쳐나는 시대에 피로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늘면서, 편안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는 '무해함'이 새로운 매력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힐링 콘텐츠에 딱 맞는 단어죠!
3. "재질"
의미: 원래는 물건의 '재료'나 '질감'을 뜻하지만, 요즘에는 어떤 사람이나 상황의 '특징', '성격', '느낌' 등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. '~~같다', '~~한 분위기다'와 비슷한 뉘앙스예요.
활용 예시:
- "저 카페 완전 내 취향 저격. 감성 카페 재질이야."
- "그 친구는 완전 아이돌 재질 아니야?"
- "오늘 내 기분은 월요일 아침 재질..."
TMI: 특정 사물이나 현상에 빗대어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은 예전부터 있었지만, '재질'이라는 단어를 활용해 더욱 구체적이고 감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요즘 트렌드입니다.

제가 들어보고 알고 있는 거 몇개는 좀 유행이 지나긴 했지만,
알잘딱깔쎈, 얼죽아, 사바사, 중꺽마, 지못미, 솔까말 등등인데 진짜 신조어가 많죠?
딱들으면 바로 알것 같은 단어들도 있고, 어잉? 하는 단어들도 많더라구요.
뭐 워낙 많이 생성되서 다 알지도 못하고 다 써먹지도 못하는 단어들 정말 많더라구요.
찾아보니 신조어였지만 국어사전에 등록이 된 단어들도 있더라구요. 표준어로 인정받은 단어들 대단하죠~
- 소개팅: '소개'와 '미팅'의 합성어로, 남녀가 서로 만나도록 주선하는 모임을 뜻합니다.
- 땡처리: 마감 시간이 임박하거나 상품성이 떨어져 재고로 남은 것을 싸게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.
- 삥땅: 남의 돈이나 물건을 가로채거나 떼어먹는 것을 속되게 이르는 말입니다.
- 육덕지다: 몸집이 크고 살이 많아 탐스럽거나 푸짐하다는 뜻으로, '육덕'이라는 명사도 표준어입니다.
- 허접쓰레기: 허름하고 잡스러운 것을 낮잡아 이르는 말입니다.
- 열폭: '열등감 폭발'의 줄임말로, 열등감이 지나쳐 상대방을 헐뜯거나 공격하는 행동을 이르는 말입니다.
이 외에도 입꾹닫('입을 꾹 닫는다'의 준말)과 같이 최근에 등재된 단어들도 있습니다. 표준어는 언중이 널리 쓰는 말 중 규범에 맞는 것을 국립국어원이 심의하여 정하는데, 신조어도 많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사용하면 표준어가 될 수 있습니다.
아래는 요즘 최신유행인가봐요. 아는것도 있고 모르는 것도 있고, 요즘은 네이버로 검색해도 AI 가 자동으로 쫘악~~ 너무나 편리한 세상세상이 되어 버렸네요.
2025 주요 신조어와 의미
- 헬시플레저 : 건강을 즐겁게 관리하는 라이프스타일, 억지로가 아닌 자연스럽게 건강한 습관을 들이는 것이 핵심입니다.
- 텍스트힙 : 독서와 글쓰기가 힙한 문화로 자리잡은 현상, 짧고 강렬한 메시지가 인기를 끕니다.
- 빅블러 : 산업 간 경계가 흐려지는 현상, 다양한 업종이 융합되는 트렌드를 의미합니다.
- 이모카세 : 친근한 사장님이 운영하는 한식당·노포에서 푸짐하게 즐기는 코스 요리를 뜻합니다.
- 추구미 : 개인이 지향하는 미적 감각이나 이미지를 의미하며, SNS에서 자신의 추구미를 소개하는 콘텐츠가 인기입니다.
- 미닝아웃 :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을 소비로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현상입니다.
- 슬세권 : 슬리퍼 신고 다닐 수 있을 정도로 편의시설이 가까운 주거 지역을 의미합니다.
- 미코노미 : 자신을 위한 소비에 돈을 아끼지 않는 소비 방식을 뜻합니다.
- 밥플릭스 : 집에서 밥 먹으며 OTT 콘텐츠를 보는 일상적 행동을 의미합니다.
- 위쑤시개 : 스트레스 해소용 매운 음식을 뜻합니다.
- 테토남/테토녀, 에겐남/에겐녀 : 남성적·여성적 특성을 강조하는 신조어입니다.
- 알잘딱깔센 : 알아서 잘, 딱 깔끔하고 센스 있게 처리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.
- 스불재 : 스스로 불러온 재앙을 뜻합니다.
- 무물보 :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의 줄임말로, Q&A를 의미합니다.
- 캘박 : 캘린더에 일정을 박제한다는 뜻입니다.
요즘에는 TV에서도 신조어를 심심치 않게 사용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지 않더라도 위에 신조어들이라도 알고 있으면 빠른 이해가 가능한 장점도 있겠죠? 이상 오늘은 신조어알아보기 였습니다.
'틈새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BTI는 어떤 드라마를 좋아할까? MBTI별 드라마 취향 가이드 (13) | 2025.08.26 |
---|---|
카카오톡 최신 업데이트 주요 기능 소개 (23) | 2025.08.13 |
광복80주년 국뽕 차오르는 행사들~ (9) | 2025.08.13 |
조정경기장에도 문화센터가 있네요~ (15) | 2025.08.07 |
말복이 지나면 진짜 가을이 오나요? 24절기 알아보기 (18) | 2025.08.07 |